日 2025년 임금인상율 조사결과 보도
닛케이신문 (5.16)
1. 조사결과 개요: `25년 평균 임금인상률 5.49%
*닛케이리서치의 협력으로 3.28일~4.18일간 설문조사 실시, 조사 대상은 상장기업과 닛케이신문이 독자적으로 뽑은 유력한 비상장기업 합계 2,293개사, 4.18일 기준으로 응답 기업수는 524사로 그중 집계 가능한 364사를 정리
ㅇ 닛케이신문이 발표한 `25년 임금동향조사는 평균 임금인상률이 5.49%였음.
- 정기승급과 기본급 인상을 합한 임금인상률은 1991년(5.64%) 이후 최고치였던 `24년의 5.57%에서 0.08%p 하락했는데, 하락은 4년 만임.
ㅇ 연합(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이 대기업에 대해 목표로 내거는 「5% 이상」의 임금인상을 한 기업은 60% 이상에 이르는 한편, 40%는 전년의 임금인상율을 하회함.
- 평균 임금 인상액은 전년 대비 606엔 증가한 1만 9,207엔으로 과거 최고임.
- 또한, 임금인상률이 10%를 넘는 기업은 1.3%로 전년의 3.6%에서 감소함.
2. 분야별 조사결과
(제조업: 5.72%로 전년 대비 하락)
ㅇ 그동안 임금인상을 이끌었던 제조업은 5.72%로 전년 대비 0.39%p 하락함. 중국경제의 둔화나 원자재 상승 등의 영향으로 상장된 제조업 기업의 `25년 3월기의 순이익이 2년만에 감익된 것이 영향을 미침.
- 철강은 6.37%로 증가율이 반토막 남(`24년은 12.83%). 중국의 강재 과잉 생산 등 의 영향으로 채산이 악화됨. JFE스틸은 기본급 인상은 2년 연속 만액 회답을 했지만, 임금인상률은 전년의 12.47%에서 6.57%로 축소됨
ㅇ 전년에 높은 임금인상을 한 기업의 반동도 관찰됨.
- 유니참은 정규직을 대상으로 한 평균 임금인상률이 2.31%로 전년에서 4.46%p 떨어졌음. `24년에 능력이나 성과를 중시하는 제도로 이행했을 때 대폭적인 임금인상을 실시한 것으로 올해는 증가율이 억제됨.
(비제조업: 5.13%로 전년 대비 상승)
ㅇ 반면 비제조업은 작년 대비 0.51%p 상승한 5.13%로 임금인상 확대 국면이 지속되고 있음.
- 부동산·주택(7.1%)이나 陸運(4.4%)은 도심 재개발 등 왕성한 수요가 임금을 끌어올렸음.
ㅇ 잔업 시간에 상한을 제한한 「2024년 문제」로 인재 확보를 위한 임금인상이 요구되는 가운데, 다케나카工務店은 각종 수당을 포함한 기본급 베이스로 8.75% 인상하며,‘건설업계의 처우와 매력의 향상을 선도하고 싶다’라고 말함.
ㅇ 인바운드 수요가 호조인 외식·기타 서비스는 6.74%로 높은 수준을 유지함.
- 규동점 「스키야」등을 운영하는 젠쇼 홀딩스의 임금인상률은 11.23%로, 임금 인상액도 4만 7,390엔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함. 대졸 초임은 3만 4,000엔 올려 31만 2,000엔으로 하였는데, 금융이나 상사 등 다른 업종에 필적하는 수준으로 설정해, 우수한 인재 유치를 목표로 함.
ㅇ (임금인상 배경) 임금인상에서 고려한 점(복수응답)은 「소비자물가 상승」이 73.8%로 가장 높았고, 「인력 부족」이 46.5%로 그 다음이었는데, 각각 전년을 상회함. 「정부의 임금인상 요청」은 5.3%p 감소한 37.6%였음.
3. 향후 고려사항
ㅇ (①중소기업에의 임금인상 파급) 조사 응답 기업은 대기업이 많아, 중소기업에 임금인상이 파급될지가 과제임.
- 미즈호 리서치&테크놀로지스에 따르면 기업이 이익 등을 인건비로 얼마나 배분했는지를 보여주는 노동분배율은 `24년도에 대기업은 43.4%, 중소기업은 75.4%로,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분배율을 인상할 여지가 적음.
ㅇ (② 실질임금의 감소) 일본 기업 전체에서는 소득 성장이 물가 급등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음. 후생노동성에 의하면, `24년의 물가를 고려한 실질임금은 `23년 대비 ▲0.2%로 3년 연속 마이너스였으며, `25년 3월도 전년 동월 대비 ▲1.5% 감소하여, 3개월 연속 마이너스였음.
- 다이이치생명경제연구소 신게 요시키氏는 “무리해서 임금을 인상하고 있던 기업의 숨이 찬듯하다. 여력이 없는 회사는 일부 세대의 대우를 바꾸는 등 탄력적인 조정을 고민해야 한다”라고 이야기함.
ㅇ (③ 트럼프 관세정책)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정책 등이 불안 요소임. 자동차와 의약품 등 폭넓은 산업에서 고관세가 부과되어 기업의 수익이 압박받으면 견조했던 임금인상 흐름이 멈출 수도 있음.
Copyright 2016 by GOVERNORS ASSOCIATION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