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동향

  1. 뉴스/소식
  2. 해외동향
프린트 공유하기

해외동향

日 2025년 임금인상율 조사결과 보도

작성자이경선 소속기관일본 작성일2025-05-19

2025년 임금인상율 조사결과 보도

닛케이신문 (5.16)

1. 조사결과 개요: `25년 평균 임금인상률 5.49%

닛케이리서치의 협력으로 3.28~4.18일간 설문조사 실시, 조사 대상은 상장기업과 닛케이신문이 독자적으로 뽑은 유력한 비상장기업 합계 2,293개사, 4.18일 기준으로 응답 기업수는 524사로 그중 집계 가능한 364사를 정리

닛케이신문이 발표한 `25년 임금동향조사는 평균 임금인상률이 5.49%였음.

- 정기승급과 기본급 인상을 합한 임금인상률은 1991(5.64%) 이후 최고치였던 `24년의 5.57%에서 0.08%p 하락했는데, 하락은 4년 만임.

연합(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이 대기업에 대해 목표로 내거는 5% 이상의 임금인상을 한 기업은 60% 이상에 이르는 한편, 40%는 전년의 임금인상율을 하회함.

- 평균 임금 인상액은 전년 대비 606엔 증가한 19,207엔으로 과거 최고임.

- 또한, 임금인상률이 10%를 넘는 기업은 1.3%로 전년의 3.6%에서 감소함.

 

2. 분야별 조사결과

(제조업: 5.72%로 전년 대비 하락)

그동안 임금인상을 이끌었던 제조업은 5.72%로 전년 대비 0.39%p 하락함. 중국경제의 둔화나 원자재 상승 등의 영향으로 상장된 제조업 기업의 `253월기의 순이익이 2년만에 감익된 것이 영향을 미침.

- 철강은 6.37%로 증가율이 반토막 남(`24년은 12.83%). 중국의 강재 과잉 생산 등 의 영향으로 채산이 악화됨. JFE스틸은 기본급 인상은 2년 연속 만액 회답을 했지만, 임금인상률은 전년의 12.47%에서 6.57%로 축소됨

전년에 높은 임금인상을 한 기업의 반동도 관찰됨.

- 유니참은 정규직을 대상으로 한 평균 임금인상률이 2.31%로 전년에서 4.46%p 떨어졌음. `24년에 능력이나 성과를 중시하는 제도로 이행했을 때 대폭적인 임금인상을 실시한 것으로 올해는 증가율이 억제됨.

 

(비제조업: 5.13%로 전년 대비 상승)

반면 비제조업은 작년 대비 0.51%p 상승한 5.13%로 임금인상 확대 국면이 지속되고 있음.

- 부동산·주택(7.1%)이나 陸運(4.4%)은 도심 재개발 등 왕성한 수요가 임금을 끌어올렸음.

잔업 시간에 상한을 제한한 2024년 문제로 인재 확보를 위한 임금인상이 요구되는 가운데, 다케나카工務店은 각종 수당을 포함한 기본급 베이스로 8.75% 인상하며,‘건설업계의 처우와 매력의 향상을 선도하고 싶다라고 말함.

인바운드 수요가 호조인 외식·기타 서비스는 6.74%로 높은 수준을 유지함.

- 규동점 스키야등을 운영하는 젠쇼 홀딩스의 임금인상률은 11.23%, 임금 인상액도 47,390엔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함. 대졸 초임은 34,000엔 올려 312,000엔으로 하였는데, 금융이나 상사 등 다른 업종에 필적하는 수준으로 설정해, 우수한 인재 유치를 목표로 함.

(임금인상 배경) 임금인상에서 고려한 점(복수응답)소비자물가 상승73.8%로 가장 높았고, 인력 부족46.5%로 그 다음이었는데, 각각 전년을 상회함. 정부의 임금인상 요청5.3%p 감소한 37.6%였음.

 

3. 향후 고려사항

(중소기업에의 임금인상 파급) 조사 응답 기업은 대기업이 많아, 중소기업에 임금인상이 파급될지가 과제임.

- 미즈호 리서치&테크놀로지스에 따르면 기업이 이익 등을 인건비로 얼마나 배분했는지를 보여주는 노동분배율은 `24년도에 대기업은 43.4%, 중소기업은 75.4%,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분배율을 인상할 여지가 적음.

(실질임금의 감소) 일본 기업 전체에서는 소득 성장이 물가 급등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음. 후생노동성에 의하면, `24년의 물가를 고려한 실질임금은 `23년 대비 0.2%3년 연속 마이너스였으며, `253월도 전년 동월 대비 1.5% 감소하여, 3개월 연속 마이너스였음.

- 다이이치생명경제연구소 신게 요시키무리해서 임금을 인상하고 있던 기업의 숨이 찬듯하다. 여력이 없는 회사는 일부 세대의 대우를 바꾸는 등 탄력적인 조정을 고민해야 한다라고 이야기함.

(트럼프 관세정책)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정책 등이 불안 요소임. 자동차와 의약품 등 폭넓은 산업에서 고관세가 부과되어 기업의 수익이 압박받으면 견조했던 임금인상 흐름이 멈출 수도 있음.

  • 담당팀 : 국제협력부
  • 담당자 :
  • 연락처 : 02-2170-6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