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사태 당시 서울시를 제외하고 가장 검사 건수가 많았다고 알고 있다. 당시 낙후된 시설로 어려움을 겪었다고 하셨는데, 코로나19 역시 검사 건수가 많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메르스 때와 달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었던 방안이 궁금하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현재까지 약 3만 건 정도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메르스 때는 검체 검사를 할 수 있는 기관이 질병관리본부(이하 “질본”) 시·도 보건환경연구원 밖에 없어서 병원 내 감염이 확산되었을 때 빠른 대응이 어려웠다. 또한 중앙정부가 일방적으로 의사결정을 하고 지방정부의 의견은 잘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장에서 혼란이 초래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 안심병원, 거점병원, 선별진료소, 보건소 등 기관별 대응체계를 잘 정비하였으며, 수탁 검사기관을 다수 지정하여 각자 역할을 조정하가며 발 빠른 진단을 할 수 있었다.
또한 중앙과 지방, 수탁 검사기관의 소통 및 협력체계를 잘 구축하여 신속한 의사결정과 적절한 실행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 중앙과 지방이 함께 방역 및 진단검사 인프라 구축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 덕분이다.
진단키트의 경우 사태 초창기에 질본이 유전자 정보를 바로 공개하고 기업의 이익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했다. 그 결과 씨젠을 선두로 총 5개의 회사가 빠르게 키트를 개발해 허가를 받았다. 공모를 통한 행정절차를 거쳤다면 빠르게 진단키트가 나오지 못했을 것이다. 또한 경기도의 경우 요양병원 등 감염위험집단에 대해 1만여 건의 풀링검사를 하는 등 과도할 정도로 많은 검사를 실시했는데 확산을 방지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