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행정우수사례

  1. 지방외교
  2. 국제화정보 DB
  3. 해외행정우수사례
  4. 행정일반
프린트 공유하기

해외행정우수사례

호주(연방정부) 포상제도 고찰 : 공무원 대상 포상제도 중심으로...

작성자차우영 작성일2012-02-10
호주(연방정부) 포상제도 고찰 : 공무원 대상 포상제도 중심으로... 기본정보
대륙 아시아 네팔
출처 tttttttttttttttttttt
키워드
등록일 2012-02-10 14:59:17
최종수정일 2024-06-02 07:51:34
 

호주(연방정부) 포상제도 고찰


 - 공무원 대상 포상제도 중심으로...




1. 호주 포상제도 개관


  □ 호주 포상제도 개요



     ○ 설립시기: 1975년


         - 초기 포상 유형: Order of Australia / Bravery Decorations / National Medal


           1975년 이전에는 영(제)국 포상제도 하에서 표창이 선정 및 수여됨


         - 초기 포상 관리사무국: 연방총독실 산하 상훈 사무처(Honours Secretariat)

            


     ○ 포상 유형: Order of Australia(호주 국가 훈장), Public Service Medal(공공 서비스 메달) 등을 비롯

          총 55개의 포상이 존재함


          호주에서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호주 국가 훈장(Order of Australia)의 경우

              일반 ․ 민간 분야와 국방 분야로 나뉘어 수여되며 각 분야는 아래와 같이 다시 4단계로 구분되어 포상됨


              → 일반․민간 분야 (연방총독 승인)

 

                  ․ Companion of the Order (AC)

                  ․ Officer of the Order (AO)

                  ․ Member of the Order (AM)

                  ․ Medal of the Order (OAM)



               → 국방 분야 (국방장관 추천 후 연방총독 승인)


                  ․ Companion of the Order (AC)

                  ․ Officer of the Order (AO)

                  ․ Member of the Order (AM)

                  ․ Medal of the Order (OAM)



     ○ 포상 대상: 호주 국익 선양에 탁월한 역할을 수행하거나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도가 높은 호주 시민

                          (공무원, 외국인 등 포함)


         호주 국익 선양에 기여도가 높은 외국인에 대해서는 Foreign Awards를 수여하거나 경우에 따라

             Order of Australia 수여자로 선정되기도 함




  □ 호주 포상제도 특징


         - 포상 후보자를 정부가 선정하지 않고, 국민(시민, 지역주민)이 직접 추천하여 선정함으로써

            정치적(혈연․지연․학연) 후원 및 외부압력으로부터 독립된 수상자 선정 체제 구축

 

         - 포상 유형 설정, 집행, 집행절차 등과 관련 그 신뢰도 측면에서 국제적 평판 높음.



  □ 포상 집행 정부부처:



    ○ 총리내각부(Department of the Prime Minister and Cabinet) 산하 상훈문화과 

       (Awards and Culture Branch)


         - 총리내각부 상훈문화과에서는 호주 포상제도와 관련한 정책 수립 및 조언을 제공하는 역할 담당


         - 시민들이 국가가 시행하고 있는 제반 포상 유형 및 추천 절차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고 참가할 수 있도록 홍보

            캠페인 개최 및 홍보정책 수립 기능 수행


         - 상훈문화과는 또한 국가 상징물인 국기, 애국가 등과 관련된 정보의 관리 및 제공의 책임도 수행함


         - 행정절차 단계에서는 Humanitarian Overseas Service Medal, Civilian Service Medal 1939-1945, Vietnam

            Logistics and Support Medal 등의 포상과 관련 하여 추천서 접수를 담당하며 공공 서비스 메달 위원회

            (Public Service Medal Committee)의 사무처(행정업무 처리) 역할을 수행하기도 함


         - 상훈문화과는 외국정부의 추천이 있을 경우 국제무대에서 기여도가 높은 호주 시민에 대해 Foreign Awards를

            포상하기 위한 절차를 담당하는 역할도 수행


         - 또한 해당 부서는 호주 국가 훈장의 일부로 호주 시민권자가 아닌 외국인에 대한 연방총리의 명예훈장

            (Honorary Awards) 포상 절차도 수행함


           호주 명예훈장을 수여한 외국인은 호주 국가 훈장 수여자와 동등한 수준의 혜택을 입게 됨

               (예: 개인 이름 뒤에 OAM 등의 명예직함 사용권한 수령)



    ○ 연방총독실(Government House, Canberra) 산하 상훈사무처(Honours Secretariat)


         - 연방총독은 호주 국가 훈장(Order of Australia) Chancellor(최종 결정권자 / 서명권자)이며 상훈사무처에서는

            호주 국가 훈장의 상훈 행정절차를 담당함

 

         - 상훈사무처의 주된 임무는 아래와 같음


           ․ 상훈 수여자 후보 추천 독려(시민 대상) 및 물색


           ․ 후보자 관련 정보 수집


                 상훈 사무처가 시드니 총영사관에 대해 Order of Australia 후보자로 추천된 한인출신 호주 시민권자에 대해

                 그 기여도 및 상훈 대상으로서의 적합성에 대해 의견을 요청한 “공식서한문” 첨부화일 참조


           ․ 호주 국가 훈장 위원회(Council for the Order of Australia) 업무 지원

                 

 

◆ 호주 국가 훈장 위원회(Council for the Order of Australia) 역할

 

   - 호주 국가 훈장 위원회는 독립기관으로서 연간 2회 미팅을 가짐

 

   - 위원회는 연방총리의 추천을 받아 연방총독이 임명하며 (준)주정부,

     공공기관 단체장, 지역주민 대표 등 총 19명으로 구성됨      

 

   - 호주 국가 훈장의 일반 ․ 민간분야 포상 대상자(후보자)에 대한

        심사 및 수상자 선정

 

     심사 절차 및 기준

       가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수준의 증빙된 기여도(실적) 여부 심사

        해당 분야의 “유급” 공직자 및 근로자가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는 수준

            이상의 기여도 여부 판단

       해당 분야에 “자발적(무급)”으로 기여한 바 있는 여타 시민 및 관계자들에

            의해서도 당해 호주 국가 훈장 수여 대상자 후보의 기여도가 충분히

         탁월한 수준으로 인지되는 지 여부 심사

 

   - 내부적으로 선정된 포상 후보자에 대해 연방총독의 최종 승인 권고

 

 

          

                             

           ․ 호주 용감한 시민 표창 위원회(Australian Bravery Decorations Council)업무 지원

 

 

 

호주 용감한 시민 표창 위원회(Australian Bravery Decorations Council) 역할

 

   - 위원회는 연방총리의 추천를 바탕으로 연방총독이 임명한 14명의 위원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각각 (준)주정부 공직자(6명), 비공직자(2명), 지역

       사회(4명)를 대표하게 됨

 

   - 호주 용감한 시민 표창 위원회는 상훈사무처가 시민의 추천을 받아

        검증한 호주 용감한 시민 표창 후보자에 대해 심사기능 수행

 

   - 내부적으로 선정된 포상 후보자에 대해 연방총독의 최종 승인 권고

 

   - 표창 수여자 선정 기간에는 제약이 없으며, 수여 시기는 특정화 되어 있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4월과 8월 2차례 실시 됨 

 

 



     ○ 국방부(Department of Defence) 산하 상훈국(Directorate of Honours and Awards)


         - 국방부 상훈국은 국방 상훈제도를 시행함에 있어 정책적 자문을 제공함


         - 상훈국은 또한 각종 국방분야 상훈 포상절차에 있어 행정적 책임이 있음


         - 국방장관은 상훈국에서 권고하는 포상 후보자 가운데 수상자를 선정하여 연방총독에게 권고하며 연방총독은

            이를 승인하고 상훈을 수여함

 

 

 

  포상 집행 절차:

  

       - 후보자 추천 접수(국민) → 심사(해당 부처) → 연방총리(or 국방장관 or 호주 국가 훈장 위원회 or 호주 용감한 시민 표창

             위원회) 추천 → 연방총독 승인 → 포상 수여

 

     절차 관련 상세 사항은 상기 포상 집행 정부부처 설명 참조

 

 



2. 호주 공직자 포상제도



  □ 공공 서비스 메달 (Public Service Medal)



     ○ 설립 연도: 1975년까지는 영국 포상제도를 준수하여 공무원 포상제도가 시행되다가 1989년에 이르러

          Public Service Medal 제도가 본격적으로 도입됨 


     ○ 설립 의의: 호주 연방정부 및 주정부, 준주정부, 지방정부 공직자들의 현저한 공적을 치하․격려하기 위해 수여


        “현저한 공적” 정의

  

           ․ 공공 서비스 또는 고객(내부․외부)서비스에 탁월한 실적/성과 수행


           ․ 정부 정책개발, 프로젝트, 프로그램 수행에 혁신적 성과 수행


           ․ 팀워크를 포함한 선도적 리더십 수행

           ․ 효율적 절차 개선, 생산성 개선, 대민서비스의 질적 향상 등의 현저한 공적 수행



     ○ 포상 기관: 다양한 공공 서비스 메달 위원회(Public Service Medal Committee)가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각각의 메달 건별로 포상대상 후보자들을 심사하는 기능을 수행함

 

     ○ 포상 절차:


        - 공공 서비스 메달 포상을 위해 다양한 PSM 위원회(Public Service Medal Committees)가 운영되며

           일반적으로 1년에 2번, 호주 국경일과 여왕생일에 메달을 포상하기 위해 운영회가 개최됨


        - 메달 수상 후보 추천 마감일은 메달을 심사하는 위원회 사무국 별로 따로 선정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매년 2월

           1일과 8월1일에 추천 접수를 마감함  


        - 후보자 심사 후 위원회는 각 메달별 수상 대상자 후보군을 선별하여 연방총리에게 추천 ․ 권고함   


        - 연방총리는 메달 수상 대상자 후보군에서 적절한 대상을 선정하여 연방총독에게 추천 ․ 권고함


        - 연방총독은 추천받은 포상 대상자를 최종적으로 승인하고 메달을 수여함


        - 메달 수상자 호주 국경일(Australian Day)과 여왕 생일(Queen's Birthday)에 발표됨

 

 

      ○ 연간 메달 포상 횟수


        - 호주 정부에서는 각 분야별로 공공 서비스 분야 메달을 수여하며 이는 연간 총 100여 개를 넘지 않음


        - 공직자 개인은 일회에 한해 공공 서비스 메달(PSM)을 수여할 수 있으며, 메달 수여 후 개인의 이름 뒤에 “PSM”

           이라는 명예직함을 붙일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됨



      [메달 디자인]


          [앞면]        [뒷면]


                    

      ○  공공 서비스 메달 후보자 추천서 양식


            Public Service Medal nomination form - PDF 558KB | DOC 107KB



      ○  호주 상훈(55개) 수여자 통계 현황 (1975년~2010년 6월30일)


          공공 서비스 메달 (1989년10월18일~2010년 6월30일) : 총 1750개

 

             

 

80th Anniversary Armistice Remembrance Medal

71

Afghanistan Medal

11,830

Ambulance Service Medal

208

Anniversary of National Service 1951-1972 Medal

125,425

Australian Active Service Medal

62,210

Australian Active Service Medal 1945-1975

70,829

Australian Antarctic Medal

82

Australian Cadet Forces Service Medal

1,644

Australian Defence Medal

242,576

Australian Fire Service Medal

978

Australian Police Medal

1,316

Australian Service Medal

38,681

Australia Service Medal 1939-1945 *

N/A

Australian Service Medal 1945-1975

96,524

Australian Sports Medal

18,000

Bravery Medal

1,001

Centenary Medal

15,841

Champion Shots Medal

53

Civilian Service Medal 1939-1945

6,810

Commendation for Brave Conduct

1,522

Commendation for Distinguished Service

271

Commendation for Gallantry

26

Companion of the Order of Australia (General Division)

372

Companion of the Order of Australia (Military Division)

24

Conspicuous Service Cross

731

Conspicuous Service Medal

848

Cross of Valour

5

Dame of the Order of Australia

2

Defence Force Service Medal

118,934

Defence Long Service Medal

32,032

Distinguished Service Cross

52

Distinguished Service Medal

95

Emergency Services Medal

280

Group Bravery Citation

66 Groups - 458 individuals

Humanitarian Overseas Service Medal

1,993

International Force East Timor Medal (INTERFET Medal)

8,696

Iraq Medal

16,828

Knight of the Order of Australia

12

Medal for Gallantry

47

Medal of the Order of Australia (General Division)

16,521

Medal of the Order of Australia (Military Division)

1,089

Member of the Order of Australia (General Division)

6,725

Member of the Order of Australia (Military Division)

1,024

Meritorious Unit Citation

19

National Medal

175,257

Nursing Service Cross

29

Officer of the Order of Australia (General Division)

1,930

Officer of the Order of Australia (Military Division)

238

Police Overseas Service Medal

4,190

Public Service Medal

1,750

Reserve Force Decoration

5,547

Reserve Force Medal

11,204

Rhodesia Medal

152

Star of Courage

139

Star of Gallantry

3

Unit Citation for Gallantry

3

Victoria Cross for Australia

1

Vietnam Logistic and Support Medal

10,811

             


 

          PSM 이외의 공직자 대상 포상 유형 예


             - Meritorious Awards: 특별 공직 분야(경찰, 공공 서비스, 방재 서비스, 비상 대책 긴급 서비스, 남극대륙

                서비스 등)에서 현저한 공적을 이룬 공직자 치하


             - The National Medal: 비상대책 서비스, 교정직, 방재 서비스, 경찰․치안 서비스 등의 정부 및 자원봉사 기관에서

                15년 이상 종사한 공직자 중 우수자 치하


             - Long Service Awards: 국방 및 유관기관 종사자 중 장기근속 공직자 치하

             - The Centenary Medal: 2001년도에 연방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한시 시행된 상훈제도로 호주

                정부 및 사회발전에 기여도가 높은 시민 치하




3. 호주 포상제도 시사점



    ○ 호주는 국가(연방정부)가 수여하는 각종 상훈 수여자 대상을 내부적으로 선정하지 않고 국민들이 직접 추천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데, 이는 한국의 포상제도와의 근본적인 차이점이라 볼 수 있음.   


       국가 정부기관이나 정부가 인증하는 대표기관을 통해 상훈 대상자를 선정하지 않기 때문에 상훈 대상자 선정

       과정에서 외부적 압력이나 혈연, 지연, 학연 등의 사적 ․ 정치적 이해관계가 개입될 여지가 없다는 점에서 그 포상

       제도의 공정성 ․ 투명성에 강점이 있다 평가할 수 있음.



    ○ 공직자를 대상으로 수여되는 “공공 서비스 메달” 상훈 시스템에서 엿볼 수 있듯이 호주의 포상제도의 또 다른 특징은

           포상 횟수에 제한을 둔다는 것임.


       공공 서비스 메달의 경우, 정부는 메달 수여 횟수를 연간 100개 이내로 제한하고 있으며, 지난 1989년 공적 서비스

         분야에 상훈제도를 도입한 후 2010년 6월 현재까지 총 지급된 메달 수는 1,750개로 제한 지급 되었음.

 

       정부는 또한 공직자 개인도 Public Service Medal(PSM)을 평생 1회에 한해서만 수여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규제하고 있으며 메달 지급 횟수를 제한하는 대신 수여자에 대해 평생 개인의 이름에 PSM 이라는

         명예직함 달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상훈의 품격을 높였다 평가할 수 있음.

 

 

작성: 차우영 책임전문위원

문의: keep.awake@gmail.com / 61-2-9210-0228

 

댓글

  • 담당팀 : 국제협력부
  • 담당자 :
  • 연락처 : 02-2170-6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