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행정우수사례

  1. 지방외교
  2. 국제화정보 DB
  3. 해외행정우수사례
  4. 환경
프린트 공유하기

해외행정우수사례

센강 물고기 피난처 - 수중 산소공급시설060811

작성자관리자 작성일2009-09-28
센강 물고기 피난처 - 수중 산소공급시설060811 기본정보
대륙 유럽 프랑스
출처
키워드
등록일 2009-09-28 14:12:07
최종수정일 2024-05-31 11:41:54
 

1. 설치 배경


- 오염과 산소부족 현상                                        


폭우시 우수와 함께 오수가 하천으로 유입되거나 여름철 온도가 높아지고 물살이 약해지면 하천수 오염과 함께 산소흡수량이 많은 박테리아도 함께 증가하게되면서 하천의 물고기들이 산소결핍으로 질식사하는 현상 발생

                          

                      2006년 현재 5개소 운영


- 1993년부터 산소공급시설 설치


파리광역권 하수도처리조합 SIAAP (Syndicat Interdepartemental pour l'Assainissement de l'Agglomeration Parisienne)에서는 1993년부터 강물 속에 국부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물고기 피난처를 설치하여 2006년 현재 5개소를 운영하고 있음


                            시설 원리 설명 도식


2. 설치 개요



- 명칭


îlot de survie piscicole, 어족 생존 피난처


- 시설 구성


· 산소저장기 : 액화산소 50m3저장


· 기화기 : 액화 산소를 기체로 환원시키고 가압하여 방출


· 조절상자 : 산소 방출을 일정하게 조절


· 공급관 : 강둑에 설치하여 기체 산소를 하상으로 이동


· 방출판 : 하상에 설치하여 산소 방출


- 운영방식


센느강 도처에 10개의 산소 측정기를 설치 산소농도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며 위급한 경우 국부적으로 산소를 방출 물고기들이 호흡할 수 있는 일시적인 피난처 형성



3. 기술 제원


- 지상시설


                  지상시설 전경 (기화기, 산소탱크, 조절상자로 구성)


· 필요면적 : 250m2


· 시설구성 : 산소저장탱크, 기화기, 조절상자, 보호벽(액화산소 저장소이므로 지하화가 불가능하며 주변 5m 둘레의 이중 보호벽 필수), 액화산소 충전을 위한 컨테이너 출입 통로 등 부대시설 포함



- 산소 공급관


· 소재 : 직경 4cm 특수 PVC 관


· 배관 : 조절상자로부터 방출판까지 지하에 매립하여 연결시키며 그 길이는 지상시설의 위치에 따라 50m ~ 800m까지 다양하게 설치되어 있음


- 조절상자


· 구성 : 압력계, 스위치, 방출판 별 분기관으로 구성

· 원격조정 : 수중산소농도, 유속, 온도 등의 수중 데이터와 기상청의 실시간 통계 등을 분석하여 중앙 통제실에서 직접 작동할 수 있도록 전화선을 통해 원격조정


- 방출판


· 소재 : 8m x 3m의 사각형 철제 판으로 다수의 미세한 방출구가 나 있음


· 방출구 자동 잠금 기능 : 하상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질의 침투를 막기 위해 산소 방출 시에만 열리고 평시에는 자동으로 잠기도록 고안


· 구성 : 시설 1개소당 보통 16개의 방출판을 연결하며 조절상자에서부터 각 방출판별로 산소 공급관을 분리하여 연결


· 설치 : 선박 통과시 손상되지 않도록 강 바닥에 고정, 시멘트로 받침대 설치


4. 운영 효과


- 설치 비용 (80만~120만 유로)


· 1993년 당시 산소공급시설 1개소 당 평균 80만 유로(약 10억원) 소요


· 현재 설치 타당성을 검토하고 있는 시설 1개소 견적 120만 유로 예상


- 액화 산소 선택


· 1992년 5월 폭우로 인해 센강에서는 물고기 폐사를 경험한 바 있으며


· 수족관처럼 대기 중의 공기를 센강에 방출 시험했으나 큰 효과를 보지 못하여


· 100% 산소를 공급하기로 결정


- 효과 및 산소 공급 범위


· 수중 산소농도 1.5mg/l 를 위험수위로 보고 있으며


· 이보다 낮아지고 유속이 느려질 경우 산소공급기를 가동함


· 방출판에서 발생한 산소는 강물속에 녹아 일대로 퍼지게 되며


· 설치지점 하류 2km까지 산소농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집계됨


- 활용 빈도


· 2006년의 경우 폭우도 없었고 유속이 적절하게 유지됨으로써 산소부족 현상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8월현재까지 1회 가동


· 연 평균 10회 미만 가동하고 있는 실정


· 1993년이후 센강에서는 물고기 집단 폐사가 발생하지 않았음


· 강우조건 : 파리지역 연평균 강우량 650mm, 1873년 이후 최대 집중호우 93mm/24시간


- 운영상의 애로점


· 설치 공간 확보의 어려움 : 센강변 대부분의 지역이 풍취보존지구로 지정되어 있어 시설에 필요한 넓은 공터를 확보하기가 어려운 상황


· 센강의 수심이 비교적 낮은 편이어서 선박 통과시 방출판에 걸려 훼손될 위험이 있음


- 기타 정보


· 현재 프랑스에는 파리에서만 유일하게 운영하고 있으며


· 런던의 템즈강에서는 선박에 산소공급시설을 두고 부족지역으로 항해하며 공급한사례가 있다 함


자료출처 : SIAAP 홈페이지, 8월 9일 시설관계자 면담내용 (자료정리지원 : 김형진)


문의 : 파리사무소 임근창 (klafirparis@wanadoo.fr)

 

댓글

  • 담당팀 : 국제협력부
  • 담당자 :
  • 연락처 : 02-2170-6044